탄자니아 NGO봉사단 활동을 마치며 2017.03.10 |
---|
탄자니아 NGO봉사단 활동을 마치며
처음 이 땅을 밟았을 때, 나는 이곳에 있는 가난하고 불쌍한 사람들을 도우러 온 사람이라고 스스로 일종의 상하관계를 만드는 실수를 저질렀다. 이곳에서 생활하면서, 내가 주었던 것들보다도 이곳의 사람들과 아이들에게 더 많은 것을 받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서 나는 나의 생각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게 되었다. 하루하루 이곳에서 아이들과 관계를 맺으며, 이 아이들이 가진 커다란 잠재력을 매 순간 발견하게 되는 일은 정말로 놀라운 일이었다. 그 발견은 누군가 이 잠재력을 발견하고 키워줄 환경이 없었을 뿐이었다는 사실, 이 땅의 현실을 안타깝게 느끼게 되는 계기이기도 했다.
마음으로 함께 삶을 공유했던 기억
![]() 이곳 탄자니아에서 마음으로 함께 삶을 공유했던 기억들이 따스하게 느껴진다. 지금 한국 사회에서는 많이 희미해진 ‘정’과 ‘순수’가 여전히 따듯하게 남아있는 곳임을 말하고 싶다. 함께 놀던 아이들이 나를 유심히 보며, 나에 대해 더 깊이 알고 싶어 하고 더 깊은 관계를 가지고 싶어 한다는 것을 느꼈다. 처음엔 그저 자신과 다른 ‘외국인’이기 때문이겠지 라고 생각했지만, 돌아보면 그들은 나를 정말로 자신들의 친구이자 가족처럼 생각 했었다고 깨닫게 되었다. 언젠가 한 아이가 나에게 했던 말이 기억난다.
나에겐 그 아이의 말이 단순히 감동과 감사함을 넘어, 내가 살아온 삶을 돌아보는 기회를 준 것 같다. 나의 활동들이 사실 특별한 것은 없었다. 그저 아이들이 하는 말을 들어주고, 아이들이 바라보는 것을 함께 봐주고, 아이들이 가는 곳에 함께 따라갔던 것 뿐 이었는데, 그 시간이 아이들에게 의미가 있었던 것 같다. 왜냐하면, 나에게도 그 순간들이 행복했던 기억으로 생생히 남아있기 때문이다.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 서로가 서로에게 공감하며 보낸 시간이었기 때문에 더 소중했던 것 같다.
한알의 밀알이 성장하는 과정
![]() 국가도 다르고, 문화도 나이 차이도 많았지만, 우리는 어느 순간 서로를 이해하고 상대방의 내면의 모습까지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. 그리고 그때에서야 비로소 내 앞에 있는 아이들이 가진 무궁한 잠재력도 볼 수 있게 된 것 같다. 그걸 깨닫는데 2년이라는 시간이 걸린 셈이다. 하지만, 한국으로 돌아가기 전에 아이들과 깊이 소통할 수 있었던 것이 정말 감사하다.
나는 내가 특별히 큰일을 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. 하지만, 이곳 탄자니아에서 보낸 2년의 시간들은 결코 헛되지 않았다. 아이들과 삶을 공유하며 함께 걸어왔던 시간들은 내 인생의 어떤 경험들보다도 가치 있는 일이 될 것이다. 이 경험들이 앞으로 내가 나아갈 길에 큰 힘과 원동력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.
나는 탄자니아를 완전히 떠났다고 생각하지 않는다. 기회가 닿는다면 나는 다시 한번 탄자니아로 돌아와 더 멋지게 성장하고 변화해 있을 아이들을 모습을 확인하고 싶다. 내가 발견한 희망을 불씨가 커다란 불길로 성장하는 모습을 기대하며, 이곳을 위해 기도하고 기쁜 마음으로 지켜 볼 것이다.
![]() * 이 글은 밀알복지재단 탄자니아지부 조예찬 단원의 에세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|